엑셀 시리즈 #23 시각화 - 조건부 서식으로 실적 대비 색상표 만들기

📊 엑셀 시리즈 #23 시각화 - 조건부 서식으로 실적 대비 색상표 만들기

안녕하세요, 7옥타브고양이입니다 😊

사무직 업무에서 엑셀로 데이터를 관리하다 보면 “성과를 한눈에 구분하기 어렵다”는 불편함이 자주 생깁니다. 이번 시간에는 조건부 서식(Conditional Formatting)을 활용해 실적을 색상으로 자동 구분하는 ‘시각화 보고표’를 만들어보겠습니다.

엑셀 시리즈 #23 시각화 - 조건부 서식으로 실적 대비 색상표 만들기

1️⃣ 실무에서 자주 등장하는 문제 상황

예를 들어, 아래처럼 팀별 매출 실적표를 관리하고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단순히 숫자로만 나열되어 있다면, 누가 목표를 달성했는지, 미달성했는지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부서 담당자 목표 실적 달성률
영업1팀 김민수 10,000,000 12,500,000 =D2/C2
영업1팀 박지은 10,000,000 8,900,000 =D3/C3
영업2팀 이준호 10,000,000 10,100,000 =D4/C4
영업2팀 최수진 10,000,000 7,800,000 =D5/C5
영업3팀 한지연 10,000,000 13,400,000 =D6/C6

여기서 달성률이 100% 이상이면 초록색, 90~99%면 노란색, 90% 미만이면 빨간색으로 표시되면 얼마나 보기 쉬울까요?


2️⃣ 조건부 서식으로 달성률 색상 자동화

이제 실무에서 자주 쓰는 조건부 서식을 단계별로 만들어봅시다.

① 달성률 계산 수식:
=IF(C2=0,"",D2/C2)

위 수식은 목표가 0일 경우 오류를 방지하고, 달성률을 자동으로 계산합니다. 계산 결과가 소수로 나오면 셀 서식 → 백분율(%)로 표시해주면 깔끔합니다.

② 조건부 서식 설정 순서:

1. 달성률 셀 범위(E2:E6)을 선택합니다.
2. 상단 메뉴 → [홈] → [조건부 서식] → [새 규칙] 클릭
3. “수식을 사용하여 서식을 지정할 셀 결정” 선택 후 아래 수식 입력

=E2>=1

서식: 연두색 배경 + 굵은 글씨

=AND(E2>=0.9,E2<1)

서식: 노란색 배경

=E2<0.9

서식: 연한 빨강 배경

이제 표를 보면 실적이 기준을 만족하는지 색상으로 바로 구분됩니다 

조건부 서식으로 달성률 색상 자동화

3️⃣ 실무 적용 팁 💡

  • 달성률 외에도 “이익률”, “재고소진율”, “업무 진행률” 등에도 동일한 논리 적용 가능
  • 조건부 서식을 복사하려면 “서식 복사 브러시(Alt + H + FP)” 사용
  • 색상 대신 ‘아이콘 집합’을 쓰면 직관적 표현 가능 (예: 초록▲, 노랑●, 빨강▼)

💬 TIP: 조건부 서식은 ‘상대 참조’로 인식되므로, 수식을 입력할 때 기준 셀(E2 등)을 절대참조($E$2)로 바꾸면 서식 복사 시 오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4️⃣ 색상 시각화로 보고서 수준 향상시키기

이 방법을 사용하면 단순 숫자 표가 한눈에 들어오는 시각적 성과표로 바뀝니다. 아래처럼 디자인을 살짝 다듬어 보세요 👇

부서 담당자 목표 실적 달성률
영업1팀 김민수 10,000,000 12,500,000 125%
영업1팀 박지은 10,000,000 8,900,000 89%
영업2팀 이준호 10,000,000 10,100,000 101%
영업2팀 최수진 10,000,000 7,800,000 78%
영업3팀 한지연 10,000,000 13,400,000 134%

관리자는 이 표만 봐도 ‘누가 목표를 달성했는지’를 즉시 인식할 수 있어 보고서 품질이 향상되고, 회의 시간도 단축됩니다.


5️⃣ 마무리 및 정리

오늘 배운 조건부 서식은 단순한 기능 같지만, 데이터를 ‘읽는 보고서’에서 ‘보이는 보고서’로 업그레이드시켜 주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실무에서는 이런 형태의 자동 색상 구분 시트가 성과 관리, 출근률 관리, 클레임 처리율, 생산 달성률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됩니다.

작은 색상 하나가 보고의 퀄리티를 좌우할 수 있다는 점! 지금 바로 본인의 시트에도 적용해 보세요 😊

다음 글을 엑셀 시리즈 #24 자동화 - 피벗테이블 없이 월별 보고서 자동화하기입니다 ^^

© 7옥타브고양이

반응형